REVIEW

본문 바로가기
REVIEW
“주 2회 해산물 먹은 아이, 사회성 더 높다”…IQ는 ‘반전’ 2025.08.16 11:50
free 조회수 2

본문


연구진 “주 190g 이상 해산물 섭취한 아이, 친사회적”
“IQ와는 연관성 발견 못해”



등푸른 생선 등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해산물을 섭취하면 IQ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IQ보다 행동 발달에 영향을 더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11일(현지시간) 영국 브리스톨 대학 연구진이 국제학술지 ‘유럽 영양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Nutrition)’을 통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고등어, 연어, 새우, 미역과 같은 해산물을 일주일에 190g 이상 섭취하면 또래 아이들과 잘 어울리는 데 문제가 적은 친사회적인 아이로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1991년 4월 1일에서 1992년 12월 31일 사이에 출산 예정일인 영국 임신부 1만 4541명을 추적 관찰했다. 이후 출생한 아이들이 8세가 됐을 때 IQ 검사를 실시했으며, 7세와 9세가 됐을 때 두 차례 ‘강점 및 어려움 설문(SDQ)’을 실시했다. SDQ 검사는 아동 청소년의 정신 건강 문제를 측정하는 검사로 친사회적 행동·과잉행동·또래 관계 문제 등을 평가한다.

아동의 보호자는 해산물 섭취 빈도를 기록하는 설문을 작성했으며, 섭취량에 따라 △전혀 섭취하지 않은 그룹 △주당 190g 미만을 섭취한 그룹 △주당 190g 이상을 섭취한 그룹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7세에 해산물을 전혀 먹지 않은 아이들은 주당 190g(약 2회분)을 섭취한 같은 나이의 아이들에 비해 반사회적 행동을 보일 위험이 35% 더 높았다.

나이가 들어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년 전 해산물에 손도 안 댄 아이들은 9세가 됐을 때 권장 섭취량을 먹은 아이들에 비해 반사회적 행동을 할 확률이 43% 더 높았다.

해산물을 먹되 권장량(주당 최소 190g)보다 적게 먹는 아이들은 권장 섭취량을 충족한 아이들보다 반사회적 행동을 보일 위험이 각각 25%(7세), 30%(9세) 더 높았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해산물 섭취량과 IQ와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해산물에 포함된 오메가3 지방산, 요오드, 셀레늄 등의 영양소가 아이의 행동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IQ에 대해서는 “연구에서 제시된 해산물 섭취량이 너무 낮거나 해산물에서 발견되는 수은과 기타 독소의 부작용으로 인해 상쇄됐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산물에는 두뇌 세포막을 구성하는 오메가3 지방산(DHA와 EPA)이 풍부하다. 이러한 지방산은 유전자 발현부터 세포막의 유연성까지 뇌 건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해산물은 또한 뇌 발달과 기능에 중요한 갑상선 호르몬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요오드와 같은 영양소도 공급한다. 또한 굴이나 게와 같은 갑각류에 풍부한 셀레늄은 DNA 생성을 위한 단백질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며 항산화제로 작용한다. 해산물에 포함된 또 다른 성분인 콜린은 통증 반응과 사고 과정에 관여하는 뇌 화합 물질인 아세틸콜린 생성에 기여한다.

영국국립보건서비스(NHS)는 주 2회 이상 생선을 먹되 특히 연어, 고등어 등 기름진 생선을 최소 한 번 포함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건강한 여성’들의 공통적인 습관?…매일 ‘이것’ 두 잔 마셨다
K리그, ‘축구 vs 야구’ 논란에 결국 사과…영상 업로드는 강행
“우리집 도마 썩었어요” 추성훈 헛구역질…진짜 위험한 이유
“등산 러버 모여라”…느려도 문제없는 ‘등산대회’ 참가자 모집
“설탕·크림 안빼도 돼”…커피 ‘이렇게’ 마셔야 건강하다? ‘놀라운 비결’
“하루 딱 25분씩만 투자하세요”…직장인 번아웃 위험 낮추는 ‘이것’
[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16일
[오늘의 운세] 2025년 6월 22일
“아무렇지 않았는데 신장암 진단”…전 NBA 선수 ‘이 증상’ 무시했다
[오늘의 운세] 2025년 7월 25일






6m3h3uq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펜타-툴(Penta-tool)

사업자 등록번호 : 309-41-006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0-대전중구-0133 | 대표:김성호

주소 : 대전광역시 중구 대종로346번길 8(부사동)

대표번호 : 042-253-7045 | 운영시간(한국) 09:00 ~ 18:00, 주말/공휴일 제외